위험물산업기사 실기 기출문제 & 해설 (2022년 2회)
안녕하세요! 자격증 블로거입니다 😊
이번에는 2022년 위험물산업기사 실기시험 2회차 기출문제를 보기 좋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시험 준비하시는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요!
🔥 1번
문제: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기타 소화설비의 능력 단위를 빈칸에 채우시오.
| 소화설비 | 용량 | 능력단위 |
|---|---|---|
| 소화전용 물통 | (1) | 0.3 |
| 수조(물통 3개) | 80L | (2) |
| 수조(물통 6개) | 190L | (3) |
| 마른 모래 | (4) | 0.5 |
| 팽창질석 또는 팽창진주암 | (5) | 1.0 |
정답:
8L, 2) 1.5, 3) 2.5, 4) 50kg, 5) 160L
해설:
-
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용으로 활용되는 설비의 기준 용량입니다. 법령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설비를 갖추어야 하며, 실제 계산 문제로도 자주 나옵니다.
🔥 2번
문제: 트리에틸 알루미늄에 대해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트리에틸알루미늄과 메탄올의 반응식
생성물 중 상온에서 기체 상태인 물질의 완전연소반응식
정답:
(C₂H₅)₃Al + 3CH₃OH → Al(OCH₃)₃ + 3C₂H₆
2C₂H₆ + 7O₂ → 4CO₂ + 6H₂O
해설:
-
트리에틸알루미늄은 고활성 금속화합물로, 알코올과 반응해 에탄을 발생시킵니다. 에탄은 대표적인 알케인 연료이며, 연소 시 CO₂와 H₂O를 생성합니다.
🔥 3번
문제: 지정과산화물을 옥내저장소 저장창고에 저장할 때 지붕에 대한 기준을 채우시오.
중도리 또는 서까래의 간격은 (1)cm 이하
-
지붕 아래에는 한 변의 길이가 (2)cm 이하의 환강이나 경량형강 격자 설치
지붕 아래쪽에는 (3)을 쳐서 구조체에 결합
두께 (4)cm 이상, 너비 (5)cm 이상의 목재 받침대 설치
정답:
30, 2) 45, 3) 철망, 4) 5, 5) 30
해설:
-
과산화물은 열, 충격에 민감하므로 낙하물 방지 및 구조 보강을 위한 안전 기준입니다.
🔥 4번
문제: 탄화알루미늄에 대해 다음 반응식을 작성하시오.
물과 반응식
염산과 반응식
정답:
Al₄C₃ + 12H₂O → 4Al(OH)₃ + 3CH₄
Al₄C₃ + 12HCl → 4AlCl₃ + 3CH₄
해설:
-
탄화알루미늄은 수분 또는 산과 반응해 메탄(CH₄)을 발생시킵니다. 이 반응은 폭발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5번
문제: 삼황화인과 오황화인이 연소 시 공통으로 생성하는 물질을 모두 쓰시오.
정답:
오산화인(P₂O₅), 2) 이산화황(SO₂)
해설:
-
인과 황이 연소되면 산화물들이 생성되며, 이 중 오산화인과 이산화황은 대표적인 연소 생성물입니다.
🔥 6번
문제: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다음 위험물의 정의를 쓰시오.
인화성 고체
철분
제2석유류
정답:
1기압에서 40도 미만에서 연소 가능한 고체 (예: 고형알코올)
53㎛ 체를 통과하는 것이 50중량% 이상인 철의 분말
인화점이 21도 이상 70도 미만인 액체 (예: 등유, 경유)
해설:
-
위험물의 정의는 법령상 핵심 출제 영역이며, 정확한 기준온도와 체 크기를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7번
문제: 불활성가스계 소화약제 구성성분에 대해 쓰시오.
IG-55의 구성성분
IG-541의 구성성분
정답:
질소 50%, 아르곤 50%
질소 52%, 아르곤 40%, 이산화탄소 8%
해설:
IG-계 소화약제는 전기설비에 적합한 가스계 약제입니다.
구성비율은 시험에 자주 출제되므로 반드시 암기하세요.
🔥 8번
문제: 제조소 및 저장소의 소요 단위 기준에 따라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면적 300㎡, 외벽이 내화구조인 제조소의 소요 단위는?
면적 300㎡, 외벽이 내화구조가 아닌 제조소의 소요 단위는?
면적 300㎡, 외벽이 내화구조인 저장소의 소요 단위는?
정답:
3
6
2
해설:
-
내화 여부와 용도(제조소/저장소)에 따라 기준 소요 단위가 다릅니다.
표를 정리하여 암기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9번
문제: 염소산칼륨 관련 문제
염소산칼륨의 완전 분해 반응식
-
염소산칼륨 24.5kg이 완전 분해되었을 때 생성되는 산소 부피 (표준상태 기준)
정답:
2KClO₃ → 2KCl + 3O₂
6.72㎥
해설:
-
몰 비율에 따라 산소 3몰 생성됨. 이상기체 기준으로 부피 환산 필요
분자량: 122.5, 2몰이 245kg, 3몰 O₂는 67.2L → 비례식 계산
🔥 10번
문제: 다음 중 1류 위험물 중 위험등급 1에 해당하는 품명 3가지 쓰시오.
정답:
아염소산염류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해설:
-
1류 위험물은 산화성 고체이며, 그중 특히 산소 발생 능력이 큰 물질이 1등급으로 분류됩니다.
🔥 11번
문제: 다음 위험물이 물과 반응할 경우 발생하는 기체를 각각 쓰시오.
인화칼슘
질산암모늄
과산화칼륨
금속리튬
염소산칼륨
정답:
포스핀(PH₃)
해당 없음
산소(O₂)
수소(H₂)
해당 없음
해설:
-
위험물의 수분 접촉 시 반응을 반드시 암기해야 하며, 이는 화재위험과 직결됩니다.
🔥 12번
문제: 나이트로셀룰로오스에 대해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제조방법
품명
지정수량
운반용기 외부 표시사항
정답:
셀룰로오스를 진한 황산과 질산 혼합액에 침지하여 제조
질산에스터류
10kg
화기엄금, 충격주의
해설:
-
폭발성 있는 고분자 물질이며, 운반 시 표기사항도 시험에 자주 출제됩니다.
🔥 13번
문제: 산화프로필렌에 대해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증기비중
위험등급
보냉장치 없이 저장 시 최대 온도
정답:
2.01
1등급
40도 이하
해설:
증기비중 = 분자량 / 평균공기분자량 → 58 / 28.84 ≒ 2.01
휘발성 높고 인화점 낮아 저장 기준이 엄격함
🔥 14번
문제: 금속칼륨 관련 화학 반응식을 쓰시오.
이산화탄소와의 반응식
에탄올과의 반응식
정답:
2K + 3CO₂ → 2K₂CO₃ + C
2K + 2C₂H₅OH → 2C₂H₅OK + H₂
해설:
금속칼륨은 강한 환원제로 공기, 물, CO₂와 격렬히 반응함
반응 시 수소 발생, 화재 또는 폭발 위험 있음
🔥 15번
문제: 다음 위험물에 대해 류별, 성질, 지정수량을 각각 맞추시오.
아이오딘염류 지정수량
지정수량 1000kg인 산화성 고체
제2류 위험물의 성질
제2류, 지정수량 1000kg 품명
제4류 2석유류(비수용성) 지정수량
제4류 3석유류(수용성) 지정수량
정답:
300kg
중크로뮴산염류
가연성 고체
인화성 고체
1,000L
4,000L
해설:
품명별 지정수량과 성질은 법령에 의해 구분됨
유사 품명일수록 혼동되기 쉬우므로 암기 필요
🔥 16번
문제: 옥내저장소 관련 기준에 대한 빈칸을 채우시오.
-
자연발화 위험물은 지정수량의 (1)배 이하로 구분, 상호간 (2)m 간격
기계 하역용기 겹침 높이는 (3)m 이하
제3, 4석유류, 동식물유류 겹침 높이는 (4)m 이하
기타 위험물은 (5)m 이하
정답:
10배
0.3m
6m
4m
3m
해설:
-
위험물 저장 시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해 구획 간격과 적재 높이를 규정함
🔥 17번
문제: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산화와 관련된 내용
산화 생성물의 시성식
완전연소 반응식
저장 시 허용 바닥면적
정답:
CH₃COOH
CH₃COOH + 2O₂ → 2CO₂ + 2H₂O
2,000㎡ 이하
해설:
-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산화되면 아세트산(CH₃COOH)이 되며, 연소시 다량의 열 발생
🔥 18번
문제: 다음 위험물의 정보를 보고 해당 물질을 파악하고 관련 기준을 작성하시오.
분자량: 100.5, 비중: 1.76
무색 유동성 액체, 물과 반응 시 발열
시성식
류별
병원과의 안전거리
5,000kg 취급 시 제조소 보유공지 너비
정답:
HClO₄ (과염소산)
제6류
해당 없음
5m 이상
해설:
-
과염소산은 강산이며, 발열 및 폭발성 높음. 6류 위험물로 분류됨
🔥 19번
문제: 저장탱크 방유제의 전체 최소용량 합계를 계산하시오.
100만L 1기, 50만L 2기, 10만L 3기 보유
50만L 탱크 1기만 별도 방유제, 나머지 5기 하나로 설치
정답:
계산식: (50만 × 0.5) + (100만 × 0.5) + (80만 × 0.1) = 83만L
해설:
제4류 위험물 저장탱크 방유제 용량은 법령 기준에 따라 계산됨
🔥 20번
문제: 저장탱크의 구조 수치를 바탕으로 탱크 용량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구하시오.
A=2m, B=1.5m, L=3m, L1=L2=0.3m
정답:
최대값: 7.16㎥
최소값: 6.79㎥
해설:
원형저장탱크 부피 계산 공식: πAB/4 × (L + (L1 + L2)/3)
보정계수 적용: 최대값(95%), 최소값(90%)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