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회차 위험물산업기사 실기 기출문제 총정리: 해설과 함께 실전 대비!
위험물산업기사 실기시험은 암기와 이해를 동시에 요구하는 과목입니다. 2021년 1회차 기출문제를 통해 실제 시험에서 어떤 식으로 문제가 나오는지 살펴보고, 정확한 정답과 해설을 함께 정리해보았습니다.
실전 같은 기출문제 풀이, 개념을 잡자!
위험물산업기사 실기시험은 문제 자체가 법령 중심이면서도 화학적 이해도 요구하는 특성이 있어 단순 암기로는 고득점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혼재 가능성, 반응식, 지정수량, 법령 기준 등은 실무에서도 자주 다뤄지는 영역이기 때문에 철저한 개념 정립이 중요합니다.
학습자 입장에서 ‘왜 이게 답인지’에 중점을 두고 풀어보았으니, 끝까지 따라오시면 실기 실력을 확실히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2021년 1회 위험물산업기사 실기 기출문제 & 해설
1번. 질산암모늄의 구성 원소 질량백분율
문제:
질산암모늄을 구성하는 물질 중 다음 기체의 wt%를 구하시오
1) 질소
2) 수소
정답: 1) 질소 : 35 wt% 2) 수소 : 5 wt%
해설:
질산암모늄(NH₄NO₃)은 총 분자량이 80이며, 질소(N)는 14 × 2 = 28, 수소(H)는 1 × 4 = 4입니다.
- 질소 wt% = (28 / 80) × 100 ≒ 35%
- 수소 wt% = (4 / 80) × 100 = 5%
화학식을 기준으로 질량비를 계산하는 기본적인 문제로, 자주 출제되는 패턴입니다.
2번. 소화약제의 열분해 반응식
문제:
(1) 1종 분말 소화약제
(2) 2종 분말 소화약제
정답:
1) 2NaHCO₃ → Na₂CO₃ + CO₂ + H₂O
2) 2KHCO₃ → K₂CO₃ + CO₂ + H₂O
해설:
1종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₃), 2종은 탄산수소칼륨(KHCO₃)입니다.
이들은 열분해 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며, 질식 소화 효과를 발휘합니다.
실제 소화기 내부에서 고온 가열 시 화학반응이 일어나므로, 반응식을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3번. 위험물 시설 분류와 용어 정의
문제:
다음 표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1) 제조소, 취급소, 저장소 등을 모두 포함하는 명칭으로 (1)에 들어갈 내용
(2) 2에 들어갈 내용
(3) 3에 들어갈 내용
(4) 위험물 안전관리자를 선임할 필요가 없는 저장소의 종류
(5) 일반취급소 중 액체위험물을 용기에 옮겨담는 취급소 명칭
정답:
1) 제조소 등
2) 간이탱크저장소
3) 이송취급소
4) 이동탱크저장소
5) 충전하는 일반 취급소
해설:
- ‘제조소 등’은 제조소, 일반취급소, 이송취급소, 저장소, 옥외탱크저장소 등을 통합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 간이탱크저장소는 특례 기준이 적용되는 저장 방식이고,
- 이동탱크저장소는 차량 등에 설치된 이동식 저장설비로, 상시 인원이 없어 관리자가 필요 없습니다.
- 일반취급소 중 충전 목적일 경우 '충전하는 일반취급소'로 구분됩니다.
4번. 위험물과 지정수량이 옳게 연결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문제:
1) 테레핀유 : 2000L
2) 기어유 : 6000L
3) 아닐린 : 2000L
4) 피리딘 : 400L
5) 산화프로필렌 : 200L
정답: 2, 3, 4
해설:
지정수량은 위험물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 기어유(제4류 제3석유류)는 6000L가 맞고,
- 아닐린은 제4류 제2석유류로서 지정수량 2000L가 정확합니다.
- 피리딘은 제4류 제1석유류이며, 400L가 맞습니다.
반면, 테레핀유는 200L, 산화프로필렌은 50L가 지정수량입니다. 헷갈리는 항목은 자주 나옵니다!
5번.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의하는 다음 위험물의 정의
문제:
1) 인화성고체
2) 철분
정답:
1) 고형알코올,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40도 미만인 고체
2) 철의 분말로서, 53마이크로미터의 표준체를 통과하는 것이 50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은 제외
해설:
인화성 고체는 일반적으로 알코올계 고체나 분말류입니다.
철분은 1류 위험물 중 하나이며, 특정 입자 크기 이하의 분말이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입자크기 기준이 있는 금속 분말류는 시험에 자주 출제됩니다.
6번. 마그네슘과 이산화탄소 반응
문제:
1) 마그네슘과 이산화탄소 반응식
2) 마그네슘 화재 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로 소화가 불가능한 이유
정답:
1) 2Mg + CO₂ → 2MgO + C
2) 마그네슘은 CO₂와 접촉 시 폭발적으로 반응하며, 가연성인 탄소를 생성하기 때문
해설:
금속화재(Mg, Na 등)는 일반 소화약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산화탄소는 오히려 금속에 의해 환원되며, 연소에 필요한 탄소를 공급하는 셈이 됩니다.
따라서 마그네슘 화재에는 '금속화재 전용 분말소화기(D급)'를 사용해야 합니다.
7번. 5류 위험물 중 지정수량 200kg인 품명
문제:
지정수량이 200kg인 5류 위험물 3가지
정답:
1) 나이트로화합물
2) 나이트로소화합물
3) 아조화합물
해설:
5류 위험물은 '자기반응성 물질'로 매우 위험한 물질입니다.
이 중 일부는 200kg 이하로도 대규모 화재·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지정수량이 매우 낮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5류는 물질명과 지정수량을 통째로 암기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8번. 탄화칼슘의 반응식
문제:
1) 탄화칼슘과 물의 반응식
2) 탄화칼슘과 물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기체의 연소반응식
정답:
1) CaC₂ + 2H₂O → Ca(OH)₂ + C₂H₂
2) 2C₂H₂ + 5O₂ → 4CO₂ + 2H₂O
해설:
탄화칼슘은 2류 위험물이며, 물과 접촉하면 아세틸렌(C₂H₂)을 발생합니다.
이 아세틸렌은 폭발위험이 매우 크며, 연소시 다량의 열을 발생시키므로 취급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보관 시 '물기엄금' 경고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9번. 메틸알코올의 연소반응
문제:
1) 메틸알코올의 완전 연소반응식
2) 메틸알코올 1몰이 완전 연소 시 생성되는 물질의 몰수 총합
정답:
1) 2CH₃OH + 3O₂ → 2CO₂ + 4H₂O
2) 3몰
해설:
- 반응식에서 메탄올 2몰 → 생성물 6몰이므로, 1몰당 3몰 생성됩니다.
- 산소는 연소에만 관여하며 몰수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 계산 기준: 1몰 메탄올 → 1몰 CO₂ + 2몰 H₂O = 3몰
10번. 원통형 탱크 내용적 계산
문제:
원통형 탱크 바닥의 지름 10m, 높이 4m, 지붕 1m 탱크 내용적
1) 계산식
2) 정답
정답:
1) π × (5)² × 4 = 314.16㎥
2) 314.16㎥
해설:
- 탱크 용적 계산은 원기둥 부피 공식을 사용합니다.
- 지붕은 반구형 또는 원추형일 수 있으나, 명확히 제시되지 않은 경우엔 본체만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π(3.1416) × 반지름² × 높이로 계산
11번. 위험물 운반용기 외부 표기 사항
문제:
1) 황린
2) 인화성고체
3) 과산화나트륨
정답:
1) 화기엄금, 공기접촉엄금
2) 화기엄금
3) 화기/충격주의, 물기엄금, 가연물 접촉주의
해설:
위험물 운반용기 외부에는 그 성질에 따른 **주의문구를 표시**해야 합니다.
- 황린은 공기와 접촉 시 자발적 발화 위험이 있어 **공기접촉엄금**이 필수
- 과산화나트륨은 산화력이 강하고 물과 격렬히 반응하므로 **물기엄금**, **충격주의** 문구 필요
- 인화성고체는 기본적으로 **화기엄금**만 표기하면 됩니다.
12번. 제조소 배출설비 기준
문제:
국소방식 배출설비의 배출능력은 1시간당 배출장소 용적의 (1) 배 이상인 것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전역방식의 경우에는 바닥면적 1제곱미터당 (2) 세제곱미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배출설비의 배출구는 지상 (3) 미터 이상으로서 연소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하고,
(4)가 관통하는 벽부분의 바로 가까이에 화재 시 자동으로 폐쇄되는 (5)를 설치할 것
정답:
1) 20
2) 18
3) 2
4) 배출덕트
5) 방화댐퍼
해설:
배출설비는 화재 예방을 위한 가장 중요한 설비 중 하나입니다.
- 국소배기 방식은 위험물 증기 제거를 위해 **용적의 20배/h 이상** 환기 필요
- 전역방식은 면적 기준으로 **18㎥/㎡/h** 이상 환기
- 배출덕트 벽 통과부에는 **방화댐퍼(화재 시 닫힘)** 설치가 필수입니다.
13번. 지정과산화물 옥내저장소 구조 기준
문제:
[보기]
저장창고는 (1) 제곱미터 이내마다 격벽으로 완전하게 구획,
해당 격벽은 두께 (2) cm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두께 (3) cm 이상의 보강콘크리트블록조로 시공
격벽은 외벽으로부터 (4) m 이상, 지붕 위로는 (5) cm 이상 돌출
정답:
1) 150
2) 30
3) 40
4) 1
5) 50
해설:
지정과산화물은 폭발성과 분해성이 크기 때문에 철저한 공간 분리가 필요합니다.
- 150㎡ 단위로 격벽 구획,
- 벽은 내화성 구조 필수(철근콘크리트 30cm 또는 보강블록 40cm),
- 격벽은 외벽으로 1m, 상부로 50cm 이상 돌출되어야 합니다.
14번. 과산화수소의 촉매 분해 반응
문제:
1) 반응식
2) 생성 기체 명칭
정답:
1) 2H₂O₂ →(MnO₂)→ 2H₂O + O₂
2) 산소
해설:
이 반응은 MnO₂(이산화망간)를 **촉매로 사용하는 분해반응**입니다.
- 과산화수소(H₂O₂)는 산소(O₂)와 물로 분해되며,
- 촉매는 반응에 직접 소비되지 않지만, **속도를 빠르게** 합니다.
이 반응은 실험과 시험에 자주 등장합니다.
15번. 보기 설명에 해당하는 물질
문제:
[보기]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산화시켜 만든다
제1석유류에 속한다
아이오딘포름 반응을 한다
정답:
1) 아세톤 (CH₃COCH₃)
2) CH₃ (아이오딘포름 반응을 유발하는 구조)
3) 노란색 (아이오딘포름의 색상)
해설:
- 아세톤은 이차 알코올인 이소프로필알코올의 산화 생성물입니다.
- 아이오딘포름 반응은 CH₃CO- 구조를 가진 물질에서 나타납니다.
- 반응 후 생성물은 **노란색 침전**으로 구별 가능합니다.
16번. 옥외탱크 저장소 특례기준
문제:
(1) 알킬알루미늄: 누설 시 안전한 장소로 유도, 불활성 기체 봉입 장치
(2) 아세트알데하이드: 동/마그네슘/은/수은 계통 금속 사용 금지, 불활성 기체 봉입
(3) 하이드록실아민: 온도 및 농도 상승에 따른 위험반응 방지
정답:
1) 알킬알루미늄
2) 아세트알데하이드
3) 하이드록실아민
해설:
- 알킬알루미늄은 공기·수분과 격렬 반응 → **봉입 및 유도 설비 필요**
- 아세트알데하이드는 특정 금속과 접촉 시 폭발위험 → **내산성 재질 사용**
- 하이드록실아민은 온도 및 농도 변화에 민감 → **안정화 관리 필요**
17번. 이황화탄소 증기 부피 계산
문제:
이황화탄소 5kg이 모두 증기로 변했을 때
1기압, 50℃에서의 부피는?
정답: 약 1.74㎥
해설:
사용 공식: PV = nRT → V = nRT/P
- 분자량(CS₂) = 76 → 몰수 n = 5 / 76
- T = 50℃ = 323K
- R = 0.082
→ V = (5 × 0.082 × 323) / (76 × 1) ≒ 1.74㎥
**단위환산과 공식 대입 연습이 중요**합니다.
18번. 소화난이도 1등급 시설
문제:
다음 중 소화난이도 1등급에 해당하는 것은?
- 질산 6만kg 저장 옥외탱크
- 과산화수소 표면적 40㎡
- 이황화탄소 500L
- 황 14,000kg 지중탱크
- 휘발유 10만L 해상탱크
정답: 4, 5
해설:
**소화난이도 1등급**은 대량, 고위험, 해상 저장 등이 기준입니다.
- 황은 1류 위험물이며, 14,000kg은 기준 초과
- 휘발유 10만L도 고위험 유류에 해당
→ 따라서 4번과 5번이 해당합니다.
19번. 빈칸 채우기 (숫자 나열)
정답:
1) 1
2) 5
3) 2
4) 10
5) 3
6) 15
7) 4
8) 20
해설:
이 문제는 특정 법령 숫자, 기준을 **암기했는지 확인하는 문제**입니다.
법정 기준치(면적, 배출량 등)는 숫자 중심으로 요약 정리해두면 유사 문제에 대응이 쉬워집니다.
20번. 알코올류에 대한 정의 기준
문제: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알코올류는 탄소 수가 1~(1)개까지인 포화 1가 알코올을 의미.
포화 1가 알코올의 함유량이 (2)중량% 미만인 수용액은 제외
가연성 액체량이 60중량% 미만이고 인화점 및 연소점이
에탄올 (3)중량% 수용액 초과 시 위험물로 보지 않음
정답:
1) 3
2) 60
3) 60
해설:
- 알코올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까지(탄소 수 1~3)
- **60% 미만 수용액**은 희석 상태로, 위험물로 보지 않음
- 이 기준은 알코올계 화장품, 세정제 등의 규제 완화 근거가 됩니다.
댓글
댓글 쓰기